참고문헌


[1] “‘인류의 조상‘ 아프리카서 처음 나왔답니다“, 중앙일보, 2005년 5월 31일, 5면

[2] “첫 현생인류는 20만년 전 남아프리카 人… 지구 자전축 변화 따른 기후확변화로 확산“, 동아사이언스, 2019년 10월 29일

[3] “얼굴로 본 한국인 이미 다민족 혈통“, 중앙일보, 2007년 8월 24일, 12-21면

[4] “고구려·원의 뿌리는 高離國 … 금·청 황제는 신라 사람”, 중앙선데이, 2010년 4월 27일

[5] “단군조선, 기자조선, 위만조선의 삼조선 체계의 인식“, K스피릿, 2013년 6월 21일

[6] “고조선의 건국신화“, 국사편찬위원회(우리역사넷), 신편한국사-고대-고조선

[7] “단군 이야기와 고조선 건국“, 국사편찬위원회(우리역사넷), 사료로 본 한국사-삼국이전-단군이야기와 고조선

[8] “위만조선”- 위키백과,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

[9] “한사군은 존재하지 않았다“, 코리아 히스토리 타임즈, 2016년 3월 12일

[10] “〔인문학강의〕식민사관을 해결할 실마리 ‘조선열전’”, YouTube 호오티비, 2018년 1월 31일, 김영수 한국사마천학회 이사장

[11] “한국의 역사”,위키백과(ko.wikipedia.org)
[12] “[화제]박혁거세는 인도인이 키웠다?”, 주간경향, 뉴스메이커 709호, 2007년 1월 23일

[13] “내 몸속에 흐르는 흉노의 피”, 월간조선, 騎馬흉노국가 新羅 연구趙甲濟(月刊朝鮮 편집장)의 심층취재, 2004년 3월

[14] “일본인이 쓴 ‘로마문화왕국 신라(新羅)’ 이야기”, 조갑제, ChosunPub, 2016년 7월 4일.

[15] “김알지·김수로는 북방기마민족 후예”, 대한민국 정책브리핑, 정책뉴스, 2004년 9월 4일.

[16] ‘국보 신라금관세트의 `화려한 첫 외출` 뒤엔 … 금연각서가 있었다.’, 중앙일보, 2011년 11월 3일.

[17] ‘금관의 나라, 신라’, 김운회 프레시안, 2005년 8월 30일.

[18] ‘게르만 민족 대이동을 촉발시킨 훈족과 韓民族의 親緣性에 관한 연구’, 이종호, 백산학회, 2003년, 66호, pp. 197-246.

[19] ‘신라 김씨와 흉노 왕자‘, 조선일보, 김태익, 김도원, 2009년 4월 24일

[20] 위키백과(ko.Wikipedia.org)

[21]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

[22] 삼국사기

[23] 삼국유사

[24] ‘[이사부를 찾아서] 3姓의 나라…박씨 왕조”, 오피니언뉴스, 2017년 2월 25일

[25] “박혁거세",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

[26] “석탈해신화”,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

[27] 신라김씨대종사, 김성균, 1977년 4월

[28] 범김씨약사, 한국성씨자료연구원, 1998년

[29] 경주김씨태사공파계통보, 경주김씨 태사공파 대종회, 학문사, 2006년

[30] “瑞山 大橋 慶州金氏家의 家系와 고문서”, 안승준, 한국학중앙연구원

[31] 향토문화전자대전, 한국학중앙연구원

[32] 경주김씨 태사공파 대동보, 경주김씨 태사공파 대종회, 1939, 1976, 1999년

[33] 경주김씨계보도, 1999년 11월, 경주김씨대종친회

[34] 성씨뉴스닷컴, http://www.sungssi.com

[35] “성씨의 고향 (구)안동김씨”, 중앙일보, 1983년 07월 03일

[36] “마의태자는 어느 집안 조상인가?”, 주간조선, 2133호, 2011년 2월 21일

[37] “마의태자 1000년 만에 경주 金씨 족보에 오른다“, 주간조선, 2116호, 2010년 8월 2일

[38] 경주김씨 감찰공파 김포문중, 경주김씨감찰공김포문중.com

[39] “경주김씨 상촌공파 판관공 김영년 묘역(단구리 시제)”, https://blog.daum.net/jaginayana/8232413, 2017년 3월 26일

[40] “내삼미동 경주김씨 집성촌 이야기“, 진길장의 오산 집성촌 이야기, 오산인포커스, 2020년 11월 16일

[41] 경주김씨 상촌공파, http://sangchongongpa.dothome.co.kr

[42] 갑진보태사공파 최고보, 정조8년(1784년)판 중간

[43] 신라 삼성연원보, 인조20년 (1642년)판 중간, 단권

[44] 갑인보 경주김씨세보(1914년), 성균관장 김유제서, 1934년 간행, 영인본 단본

[45] 경주김씨 상계 세대 1람(시조에서 32세), 계보연구(10주년 기념호)

[46] 상촌선생의 생애와 사상, 신천식, 상촌사상연구회, 2003년 9월

[47] https://kostma.aks.ac.kr/dataSearch/dataSearch.aspx?sType=_inresult&query=%24%EC%82%AC%EC%8A%B9%EA%B3%B5%ED%8C%8C&inresult_query=%EC%82%AC%EC%8A%B9%EA%B3%B5%ED%8C%8C

워드프레스닷컴으로 이처럼 사이트 디자인
시작하기